_/후기

[네이버페이 경력직] 서류 합격 & 코딩테스트 후기

선달 2025. 1. 28. 06:00
반응형

 

2024 Naver Financial(네이버파이낸셜, 네이버페이) 금융 서비스 FE 개발 전형 서류를 합격했다.

서류지원부터 코딩 테스트까지 진행한 후기를 간단하게 남겨보고자 한다.

 

 


 


2024년 12월 06일 부터 22일까지 2주간 지원을 받았고

공채가 아닌 상시채용이였다.

 

사실 1년 이상의 실무 경험이 있는 사람을 뽑는 경력직 공고라서..

생신입인 나는 해당사항이 아니였는데

그냥 지원했다 (?)

 

그러나.. 서류 문항 1번 부터 난관이 있었으니...


 

1. [필수] 기존 직장에서의 퇴직 사유와 네이버파이낸셜로의 지원 동기를 자유롭게 기재해주세요. (500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번 기존 직장 퇴직 사유를 작성할 수가 없었다..

왜? 직장이 없었으니ㄲㅏ...

대학 졸업(은 물론이고 수료)도 안했으니 77ㅏ.....

 

덕분에 500자를 지원동기와 자기소개로 꽉꽉 채웠다

카카오도 그렇고 자기소개/지원동기는 요즘 500자 내외로 짧게 하는게 트렌드인듯하다

 

[_/코딩안함] - [카카오페이 대규모 인턴십] 서류 합격 & 코딩테스트,과제테스트 후기

 

[카카오페이 대규모 인턴십] 서류 합격 & 코딩테스트,과제테스트 후기

카카오페이증권 대규모인턴십 Front-end 개발자 전형 서류를 합격했다서류지원부터 코딩 테스트와 과제 테스트까지 진행한 후기를 간단하게 남겨보고자 한다.   2024년 12월 01일 부터 16일까지 2

whkakrkr.tistory.com

 

 

2. [필수] 지금까지 수행한 과제 또는 프로젝트를 소개해주시고 본인의 역할을 함께 기술해주세요. (1000자)

 

내 프로젝트들을 소개할 기회

경력직 공고인만큼 번쩍번쩍한 회사 실무 프로젝트를 작성하는 지원자가 많았을텐데..

 

나는 그동안 이력서에 틈틈이 업데이트했던 프로젝트들 소개 문구를 그대로 복붙했다

교훈 : 이력서는 지원할때 쓰면 늦는다. 미리 정리해놓고 수시로 업데이트하면서 작성하자

 

 

 

 

3. [선택]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기술의 원리를 고민해본 경험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그나마 조금 특이했던 문항..

애착있었던 프로젝트 하나를 골라서 예전에 써뒀던 필기(? 를 바탕으로 작성했다

교훈 : 프로젝트 기록은 기억이 남아있을 때 하자

 

 

 

 

4. 자유양식 이력서 & 포트폴리오

 

사실상 지원 자격조차 갖추지 못한 내가 나를 어필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였다

카카오 때와 마찬가지로 이전부터 사용하던 노션 이력서 템플릿을 사용했고

몇가지 이력과 프로젝트에 내용을 좀 더 보충하고 디테일을 추가한 후 제출했다

사용한 이력서 양식은 이전 포스팅에서도 공유했던 "그 템플릿" 재탕이다

(언제까지 쓰게될지 제작자도 모르겠는 만년 이력서...)

 

 


 

코딩테스트와 과제테스트는 정해진 기간 중 자유응시였다

프로그래머스를 통해 진행했고
녹화나 감독이 일절 없었다


코딩테스트는 3문제가 출제되었고 매우매우 쉬웠다
체감상 백준 실버 1 ~ 골드 5 정도?
(어라 이거 어디서 그대로 쓴 것 같은데)


카카오와 달랐던건 테스트케이스 채점 결과가 아예 주어지지 않는다는거..
내가 몇솔인지도 모른다.. 아직도..

 

 


 

그리고 얼마 후 코딩테스트 결과 메일이 왔는데

 

 



 

 

 

⬇️ 사용한 이력서 템플릿 공유 링크 ⬇️

https://litt.ly/notiondal/sale/IEvBWB6

 

NotionDal

노션 템플릿 제작 및 커스텀

litt.ly

[_/코딩안함] - [카카오페이 대규모 인턴십] 서류 합격 & 코딩테스트,과제테스트 후기

 

[카카오페이 대규모 인턴십] 서류 합격 & 코딩테스트,과제테스트 후기

카카오페이증권 대규모인턴십 Front-end 개발자 전형 서류를 합격했다서류지원부터 코딩 테스트와 과제 테스트까지 진행한 후기를 간단하게 남겨보고자 한다.   2024년 12월 01일 부터 16일까지 2

whkakrkr.tistory.com

 

 

 

 

반응형